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2

운영체제에서의 입출력(I/O) 관리 운영체제에서의 입출력(I/O) 관리란? 운영체제의 입출력 관리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디스크, 네트워크, 터미널 등과 같은 다양한 입출력 장치와의 효율적인 통신을 관리하고, 프로세스가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때 시스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내용들을 알아보자. 1. 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s) 운영체제는 각종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특정 하드웨어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2. 버퍼링 (Buffering) 운영체제는 입출력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퍼링을 사용한다.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입출력 속도 차이나 효율.. 2024. 1. 22.
OS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 OS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란?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의 여러 부분들을 조율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OS의 작동원리 부트 프로세스 컴퓨터를 켜면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또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가 실행되고, 이는 부팅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부트 로더가 메인 메모리에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을 로드하고 실행한다. 커널 로딩, 초기화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인 커널이 메모리에 로드되고 초기화된다. 커널은 하드웨.. 2024.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