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란?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의 여러 부분들을 조율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OS의 작동원리
- 부트 프로세스
- 컴퓨터를 켜면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또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가 실행되고, 이는 부팅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 부트 로더가 메인 메모리에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을 로드하고 실행한다.
- 커널 로딩, 초기화
-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인 커널이 메모리에 로드되고 초기화된다.
- 커널은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며,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부팅 후 초기화 및 구동
- 커널이 초기화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특정 서비스를 시작한다.
- 시스템 리소스를 초기화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 프로세스 관리
- 운영 체제는 여러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CPU에 프로세스를 할당하며, 프로세스 간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 프로세스 간의 통신 및 동기화를 지원한다.
- 메모리 관리
- 운영 체제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한다.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메모리와 디스크 공간을 조합하여 메모리 부족 상황을 완화한다.
- 파일 시스템 관리
- 파일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 파일 및 디렉터리를 생성, 삭제, 읽기, 쓰기, 수정하는 작업을 지원한다.
- 입출력 관리
- 운영 체제는 입출력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관리한다.
- 드라이버를 통해 하드웨어와 통신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과의 입출력 작업을 조정한다.
- 보안 및 권한 관리
- 접근 권한을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한다.
- 사용자 간의 데이터 공유 및 보호를 담당한다.
- 네트워킹 및 통신
- 운영 체제는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여 다른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활용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 효율성, 보안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에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지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레드와 동시성 (0) | 2024.01.17 |
---|---|
프로세스란? (0) | 2024.01.15 |
호스팅이란? (0) | 2024.01.11 |
DNS와 그 작동 원리 (0) | 2024.01.10 |
브라우저와 그 작동 원리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