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정리

브라우저와 그 작동 원리

by Hyeongjun_Ham 2024. 1. 9.

브라우저와 그 작동 원리

 

다양한 브라우저들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여러 브라우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Chrome, Firefox, Safari, Edge 등이 있다.

각 브라우저는 고유한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비슷하다.

 

살펴보자.

 


  1. 사용자의 요청과 주소창
    • 사용자가 주소창에 웹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URL)를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URL로 요청을 보낸다.
  2. URL 해석 및 DNS 조회
    • 브라우저는 입력된 URL을 해석하고, 해당 웹 사이트의 호스트명을 찾기 위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3. 서버에 요청 전송
    •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낸다.
    • 이 요청은 웹페이지의 HTML 문서와 연결된 다양한 리소스(이미지, 스타일 시트, 스크립트 등)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다.
  4. 서버 응답 및 문서 다운로드
    • 웹 서버는 브라우저에게 요청된 리소스와 함께 HTML 문서를 응답으로 보낸다.
    •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받아 각 리소스를 다운로드한다.
  5. 렌더링 엔진
    • 브라우저는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여 HTML 문서를 파싱 하고, 문서의 구조를 이해한 후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생성한다.
  6. 스타일링 및 레이아웃
    • 브라우저는 스타일 시트(CSS)를 파싱 하여 문서에 스타일을 적용하고, 각 요소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여 레이아웃을 설정한다.
  7. 화면에 그리기
    • 최종적으로, 렌더링 된 요소들이 화면에 그려진다.
    • 이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웹 페이지가 생성된다.
  8. 상호 작용 및 이벤트 처리
    • 사용자가 웹 페이지와 상호작용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이벤트를 감지하고 처리한다.
    • 이벤트는 JavaScript로 작성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동적인 효과나 상호 작용을 추가할 수 있다.
  9. 웹 페이지 업데이트 및 렌더링
    • 사용자가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페이지의 일부분이 업데이트되면, 브라우저는 위의 단계를 반복하여 새로운 내용을 표시한다.

 

각 브라우저는 고유한 엔진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해석하고 렌더링 한다.

 

 

간단히 정리하면

1.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을 보낸다.

2.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 화면에 나타낼 정보들을 먼저 그린다.

3. 상호작용 및 이벤트 처리를 해서 페이지가 작동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지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이란?  (0) 2024.01.11
DNS와 그 작동 원리  (0) 2024.01.10
HTTP 란?  (2) 2024.01.08
OSI 7 계층이란?  (0) 2024.01.06
패킷 (Packet) 이란?  (0) 20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