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항해99_TIL220523 (http 상태코드, https, SSL)

by Hyeongjun_Ham 2022. 5. 24.

스프링 개인과제를 하는데 자바스크립트 쪽에서 3시간은 헤맸다.

길 잘못잡은거 같아 싹 날리긴 했다.

결국 무로 돌아갔지만 그 과정에서 길을 다시 잡은 것 같다.

스프링 이용해서 새로운 페이지만들고, 그 페이지로 넘기는게 너무 어려웠다.

나중에 공부 더해서 잘해보자

 

- http 응답 오류 코드

100번대 코드는 서버가 요청을 받았으니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가 작업을 계속하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200번대 코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가 성공적으로 처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300 번대 코드의 경우 리다이렉션과 관련이 있음.

 

리다이렉션은 간단하게 말하면 어떤 리소스가 옮겨지거나 해서 찾아갔던 그곳에 리소스가 없을 때 서버가 네가 찾는 거 거기 있어! 하면서 알려주는 걸 말함.

 

400번대 코드의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낸 요청이 잘못된 경우를 의미한다.

 

500 번대 코드는 서버쪽에서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던지는 코드이다.

 

출처 : https://www.whatap.io/ko/blog/40/

 

HTTP 상태 코드 정리 | 와탭 블로그

HTTP 응답 상태 코드의 목록을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어떻게 서버가 응답하는지 알아봅시다.

www.whatap.io

 

- http ,SSL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즉 Hypertext 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https는 보안이 강화된 http이다.

 

SSL과 TLS는 보안 계층이라는 독립적인 프로토콜 계층을 만들어, 위와 같이 응용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에 속하게 된다.

https는 SSL 또는 TLS위에 http프로토콜을 얹어 보안된 http통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즉 SSL, TLS는 http뿐 아니라 FTP SMTP와 같이 다른 프로토콜에도 적용할 수 있다.

SSL과 TLS는 같은 의미의 단어.

TLS가 SSL의 후속 버전이지만 SSL이 일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는 용어

 

출처 : https://blog.naver.com/skinfosec2000/222135874222

 

웹사이트 보안을 위한 방법, SSL이란? (feat. SSL과 HTTPS의 차이)

안녕하세요! 알기 쉽게 풀어쓴 보안 '알풀보'입니다. '알풀보'는 어려운 보안 용어와 ...

blog.naver.com

 

- 내일 할 일

내일은 무조건 개인과제 완성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