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에서 PWA적용으로 인해 https로 배포하게 되었다.
이런 오류가 나서 서버도 https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http로 배포가 되어있는 ec2를 https로 바꾸는 과정을 간단히 순서를 적어보자.
1. 도메인 얻기
2. ssl인증서 얻기
3. Route 53을 이용해 DNS에 도메인 등록
4. 로드밸런서생성 및 EC2에 연결
5. Route 53을 이용해 도메인과 로드밸런서 연결
6. 로드밸런서 리스너 변경으로 http를 https로 리다이렉트
이렇게 진행했다.
[Deploy] - 서버사이드 HTTPS 환경으로 배포하기(AWS).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중에 webcam을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MediaDevices.getUserMedia()라는 메소드를 사용했는데, 이 함수는 Secure 환경이 요구됩니다. 즉 웹이라면 https 환경이라고 생각
velog.io
6번은 로드 밸런서로 돌아와서
리스너 - http:80을 리다이렉트 https:443으로 해주면
http로 요청이 들어와도 https로 접속이 된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_TIL220726 (Sentry 스프링 적용) (0) | 2022.07.26 |
---|---|
항해99_WIL220724 (0) | 2022.07.24 |
항해99_WIL220710 (0) | 2022.07.10 |
항해99_TIL220708 (전역 예외처리) (0) | 2022.07.08 |
항해99_TIL220703(쉘 스크립트, GitHubAction, AWS CodeDeploy CICD)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