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M(Object-Relational Mapping)
- ORM은 Object Relational Mapping 즉, 객체-관계 매핑의 줄임말이다.
- 객체-관계 매핑을 풀어서 설명하자면 우리가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에서 쓰이는 객체라는 개념을 구현한 클래스와 RDB(Relational DataBase)에서 쓰이는 데이터인 테이블 자동으로 매핑(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 R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엑셀시트처럼 빈칸에 내용을 쌓아가는 데이터베이스 방식이다.
- 그러나 클래스와 테이블은 서로가 기존부터 호환가능성을 두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일치가 발생하는데,
이를 ORM을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문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한다.
따라서 ORM을 이용하면 따로 SQL문을 짤 필요없이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구조적 질의 언어))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DBMS)에서 자료를 관리 및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
- SQL문법 크게 3가지 종류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 언어)
- MVC패턴
- MVC 패턴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 세 개의 컴포넌트로 이루어졌다.
- 모델(Model)
-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를 나타낸다.
- 데이터베이스, 처음의 정의하는 상수, 초기화 값 등을 뜻한다.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모델의 변경사항을 컨트롤러와 뷰에 전달한다.
- 뷰(View)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즉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의미한다.MVC패턴은 여러개의 뷰가 존재할 수 있다.모델에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아야 한다.
-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면 모델에게 전달하여 모델을 변경해야 한다.
- 컨트롤러(Controller)
- 모델과 뷰 사이를 이어주는 브릿지 역할모델이나 뷰는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있다.
- 컨트롤러는 이를 중재하기 위해 모델과 뷰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 MVC패턴 사용이유
- '유지보수의 편리성'
- MVC 패턴은 Spring 프레임워크와 JSP(Java Servlet Page)를 사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가장 즐겨 사용되는 개발 방식이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_TIL220608 (주문하기 API) (0) | 2022.06.09 |
---|---|
항해99_TIL220607 (클린코드) (0) | 2022.06.07 |
항해99_TIL220604 (트랜잭션) (0) | 2022.06.04 |
항해99_TIL220603 (배열 저장) (0) | 2022.06.03 |
항해99_TIL220602 (테스트 코드) (0) | 2022.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