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기억장치의 발달과정
기억장치란?
기억장치는 데이터, 프로그램, 연산의 중간 결과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기억장치는 접근 속도, 기억 용량, 용도 등에 따라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나누어진다.
- 레지스터
-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기억장치이다.
- 접근 시간이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속도와 비슷하다.
- 캐시 메모리
-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때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 기억 용량은 작지만 접근 시간이 주기억장치보다 5 ~ 10배 정도 빠르다.
- 주기억장치
-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장치이다.
- 레지스터나 캐시 메모리보다 기억 용량이 크다.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에 비해 접근 시간은 느리지만 기억 용량이 크다.
- 접근 시간은 주기억장치보다 약 1,000배 정도 느리다.
기억장치의 발달과정
1세대(1946~1955) : 진공관 세대
- 주요소자 : 진공관
- 주기억 장치 : 자기드럼, 수은지연회로
- 보조기억장치 : 천공카드, 종이테이프
- 사용언어 : 기계 중심의 기계어 - 어셈블리어
- 특징 : 부피가 크고 고장이 잦음 / 수치계산, 통계 등에 사용 / 하드웨어 개발 중점 / UNIVAC, ENICAC 개발
2세대(1955~1965) : 트렌지스터 세대
- 주요소자 : 트랜지스터(TR)
- 주기억장치 : 자기코어
- 보조기억장치 : 자기드럼, 자기디스크
- 사용 언어 : 고급언어 개발 (COBOL, FORTRAN,ALGOL 등)
- 특징 : 트랜지스터의 사용으로 부피가 감소되고, 신뢰성이 높아짐 / 운영체제 개념 도입 / 소프트웨어 개발에 주력/
온라인 실시간 처리방식 도입 /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 사용 / 과학계산, 일반 사무에 사용
3세대(1965~1970) : IC(intergrated sirsuit) 집적회로
- 주요소자 : 집적 회로 (IC) (100개 미만)
- 주기억장치 : 집적회로 (IC), RAM과 ROM사용
- 보조기억장치: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 사용언어 : 고급언어 (LIPS, PASCAL, BASIC, PL/1)
- 특징 : 시분할시스템 사용 / OMR, OCR, MICR 도입 / MIS 도입
4세대(1970~1990) : LSI
- 주요소자 : 고밀도 집적회로 (LSI) (1000 ~ 10만개)
- 주기억장치 : 고밀도 집적회로 (LSI)
- 보조기억 장치 :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 사용언어 : 고급언어 (ADA등), 문제지향적 언어
- 특징 :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로 가정에서도 컴퓨터 사용이 가능해짐, pc의 등장 / 네트워크 발달
제 5세대(1990년대 이후) : VLSI
- 주요소자 : 초고밀도집적회로(VLSI) (10만 ~ 100만개)
- 주기억장치 : 초고밀도집적회로(VLSI)
- 보조기억장치 :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 사용언어 : 객체지향언어 (C++, java)
- 특징 : 인터넷의 확산 / 인공지능 / 음성인식 / 페턴인식 등의 신기술 개발
하드웨어 특징 | 소프트웨어 특징 | |
1세대 | 진공관 | 일괄처리 |
2세대 | 트랜지스터 | 다중 프로그래밍 |
3세대 | 집적회로 | 시분할 처리 |
4세대 | LSI (고밀도 집적회로) |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 |
5세대 | VLSI (초고밀도집적회로) | 병렬처리 자연언어 처리 |
출처
1과목_컴퓨터 구조와 디지털 저장매체_01 컴퓨터의 구조
1. 컴퓨터 구조 1) 컴퓨터 구조의 발전 ▶ 컴퓨터의 구성 장치와 기본 구조 - 하드웨어 : 컴퓨터의 기계장치 의미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의 동작을 제어,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모든 종류의 프로
jsitper.tistory.com
https://mindstation.tistory.com/227
컴퓨터 세대별 발전과정 및 특징 알아보기
컴퓨터는 기계장치인 하드웨어와 이를 움직이게 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레지스터와 제어장치, 연산장치로 구성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지금의 컴퓨터가 탄생하기 까지
mindstation.tistory.com